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엑셀84

엑셀 몇번째로 큰 값인지 구하는 함수 오늘은 엑셀에서 몇 번째로 큰 값인지 구하는 함수인 LARGE 함수에 대해 알아보자. 반대로 몇 번째로 작은 값인지 구하는 함수는 SMALL 함수이니 같이 생각해 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. LARGE 함수=LARGE(범위,순위)아래 사진과 같이 1부터 5까지 중 2번째로 큰 값을 구하고 싶다면 =LARGE(1:A5,2) 주의점순위가 데이터범위보다 크다면 또는 순위가 음수일 경우 #NUM!예를 들어 =LARGE({1,2,3},4) 일 경우 범위는 3등까지인데 4순위를 구해달라고 할 경우 #NUM! 발생범위 안에 문자가 있을 경우 순위에 반영하지 않음범위 안에 중복값이 있을 경우 중복값을 고려하지 않음예를 들어 =LARGE({1,2,3,3,4,5},5) 경우 1이 아닌 2의 결괏값이 나옴 LARGE 함수 응용.. 2025. 5. 14.
엑셀 개수 구하는 함수 엑셀에서 선택 범위의 데이터 개수를 구하는 함수들이 있는데 오늘은 이러한 함수들에 대한 알아보자. COUNT 함수 - COUNT 함수는 선택한 범위에 숫자가 입력된 셀의 개수를 구합니다. - 문자 등의 셀 개수는 구할 수 없습니다. COUNTA 함수 - COUNTA 함수는 선택한 범위에 비어있지 않는 셀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로 숫자뿐만 아니라 텍스트, 논리값, 오류값, 빈 테스트 등 값이 있는 모든 셀을 포함하여 개수를 구합니다. COUNTBLANK 함수 - COUNTA 함수와 반대로 선택한 범위에 비어있는 셀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COUNTIF 함수 - 선택한 범위에 지정된 조건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 - 아래사진처럼 1부터 7까지 중에서 2 이상의 데이터 개수를 구하고 싶다면 - =CONUNTIF(B2:.. 2025. 5. 11.
엑셀 평균값, 중간값, 최빈값 평균값 - AVERAGE 함수 - 데이터의 합을 데이터의 개수로 나눈 값으로 - =AVERAGE(3,4,5,6,7,7,7,100) 경우 데이터의 합 139를 데이터의 개수 8로 나눈 값인 17.375을 도출해 낸다. - 데이터가 고르게 퍼져 있을 땐 적합하지만 데이터가 아주 크거나 작은 값이 있다면 적절한 지표가 아닐 수 있다. 중간값 - MEDIAN 함수 - 데이터를 크기 순으로 정렬 했을 때, 가장 중앙에 위치하는 값으로 - =MEDIAN(3,4,5,6,7,7,7,100) 경우 6.5의 결과 값을 도출 - 중간값은 데이터가 아주 크거나 작은 값에 영향을 덜 받음 최빈값 - MODE 함수 - 데이터 중 가장 자주 나타는 값으로 - =MODE(3,4,5,6,7,7,7,100) 경우 7의 결과 값을 도출.. 2025. 5. 8.
엑셀 합계 구하는 방법 엑셀을 사용하는 주된 이용 중에 하나는 복잡한 계산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이다. 오늘은 엑셀에서 합계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.1. 산식 이용 - 단순히 특정 숫자의 합을 알고 싶다면 (예를 들면 123, 456의 합을 알고 싶다면) - 합계를 나타내고 싶은 셀을 지정 후 F2 - =123 + 456 - =SUM(123,456)도 가능2. SUM 함수 사용 - 특정 범위의 합계를 알고 싶다면 SUM 함수를 사용한다. - SUM 함수는 지정한 여러 개의 셀, 범위, 숫자 등의 합계를 구하는 기본적인 함수이며 최대 255개의 인수를 입력할 수 있다. - 아래 사진처럼 B3:B9범위와 C3:C9범위의 합계를 알고 싶다면 - 합계를 나타내고 싶은 셀을 지정 후 F2 - =SUM(B3:B9,B3:C9) 입력.. 2025. 5. 6.
반응형